안녕하세요~ 미경전기입니다
기본적인 전기 상식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쉽게 이해 하실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려고해요~
이번 포스팅은 전선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알려드릴게용~

첫번째 전기 상식, 전선의 구성
전선은 맨 바깥쪽에 시스, 시스안에 절연체, 절연체안에 도체가 들어있습니다.
'시스'는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하는 껍데기입니다.
'절연체'는 전기가 밖으로 새어나가 사고가 날 경우를 방지하는 보호장치입니다.
'도체'는 전기가 흐르는 구리선입니다.
전기가 통하는 곳은 보호가 잘 되어있어야 하는데 보호장치가 없다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죵..?
두번째 전기 상식, 전선의 단위
전선의 단위로는 스퀘어(Square)와 제곱밀리미터(㎟)가 있습니다.
제곱을 영어로 말하면 스퀘어가 됩니다.
즉, 제곱=스퀘어 입니다.
현장에서는 "스퀘어"라는 말을 쓰고 이론적으로는 "제곱밀리미터"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세번째 전기 상식, 전선의 굵기(SQ)
일반적인 사람들은 전선의 굵기라 하면 외부 피복의 굵기를 많이 생각하시는데요~
외부피복 속에 도체라고 하는 구리의 단면적을 말하는 것입니다.
네번째 전기 상식, 전선의 가닥(C)
전선에 표기되어있는 2C, 3C 등은 코어 라고 부르며 전선의 가닥 수를 나타내는 겁니다.

위의 네가지를 모두 이해하셨다면 이제 위의 전선을 보실 수 있으실거에용~
예를 들어 VCTF 2.5SQ X 2C 라고 표기되어있으면 2.5㎟의 도체가 2개 들어있는 전선이라 보시면 됩니다.
초보자도 쉽게 알 수 있는 설명으로 다가가려고 포스팅을 해보았는데요~ 다들 전선에 대해 조금 이해가 가셨나용~?
앞으로도 쉽고 간단하게 이해 할 수 있는 포스팅으로 자주 찾아 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미경전기입니다
기본적인 전기 상식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쉽게 이해 하실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려고해요~
이번 포스팅은 전선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알려드릴게용~
첫번째 전기 상식, 전선의 구성
전선은 맨 바깥쪽에 시스, 시스안에 절연체, 절연체안에 도체가 들어있습니다.
'시스'는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하는 껍데기입니다.
'절연체'는 전기가 밖으로 새어나가 사고가 날 경우를 방지하는 보호장치입니다.
'도체'는 전기가 흐르는 구리선입니다.
전기가 통하는 곳은 보호가 잘 되어있어야 하는데 보호장치가 없다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죵..?
두번째 전기 상식, 전선의 단위
전선의 단위로는 스퀘어(Square)와 제곱밀리미터(㎟)가 있습니다.
제곱을 영어로 말하면 스퀘어가 됩니다.
즉, 제곱=스퀘어 입니다.
현장에서는 "스퀘어"라는 말을 쓰고 이론적으로는 "제곱밀리미터"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세번째 전기 상식, 전선의 굵기(SQ)
일반적인 사람들은 전선의 굵기라 하면 외부 피복의 굵기를 많이 생각하시는데요~
외부피복 속에 도체라고 하는 구리의 단면적을 말하는 것입니다.
네번째 전기 상식, 전선의 가닥(C)
전선에 표기되어있는 2C, 3C 등은 코어 라고 부르며 전선의 가닥 수를 나타내는 겁니다.
위의 네가지를 모두 이해하셨다면 이제 위의 전선을 보실 수 있으실거에용~
예를 들어 VCTF 2.5SQ X 2C 라고 표기되어있으면 2.5㎟의 도체가 2개 들어있는 전선이라 보시면 됩니다.
초보자도 쉽게 알 수 있는 설명으로 다가가려고 포스팅을 해보았는데요~ 다들 전선에 대해 조금 이해가 가셨나용~?
앞으로도 쉽고 간단하게 이해 할 수 있는 포스팅으로 자주 찾아 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